제목

[선거법] 권선택대전시장 선거법 사건 상고이유서(서론부분)

상고이유 개진에 앞서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정치인의 통상적인 사단법인 설립 및 그 활동이 공직선거법상 유사기관 설치 금지 위반으로 인한 부정선거운동죄 내지 사전선거운동죄로, 그 사단법인의 회비 수령이 정치자금법상 정치자금부정수수죄로 평가되어서는 안 됩니다.

 

공직선거법 제58조 제1항은 선거운동을 공직선거에서 당선되거나 되게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행위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물론 공직선거법에서 선거운동에 해당되지 않는 행위를 규정하고 있고, 판례를 통하여 어느 정도 범위를 제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사단법인 활동의 어디까지가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더욱이 대부분의 국민들은 정치인의 모든 행동은 자신의 당선을 위한 것이다라고 생각합니다. 정치인이 시장에서 장을 보는 것은 서민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함이고, 사회봉사를 하는 것은 자상한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함이며, 포럼이나 연구활동을 하는 것은 전문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국민들이 갖는 정치인에 대한 일종의 선입견입니다. 물론 이러한 선입견이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고 전혀 틀린 것도 아닙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 국민의 선입견으로 그쳐야 합니다. 정치인의 사단법인 설립이 어느 경우에 공직선거법상 유사기관 설치·설립에 해당하는지, 설립한 사단법인의 통상적인 활동이 어디까지가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그래야만이 정치인과 관계된 사단법인은 그 기준을 준수하며 통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정치인들이 연구소나 포럼 혹은 재단·사단법인 등의 각종 단체·조직을 설립하거나 가입하여 활동하는 것은 흔히 있어 왔습니다. 박성효 전 대전광역시장은 사단법인 희망대전연구원을 설립하여 활동하였고, 염홍철 전 대전광역시장 역시 사단법인 미래도시공동체연구원을 설립하여 활동하여 왔습니다. 심지어 대선 후보였던 손학규 전 국회의원 역시 동아시아 미래재단의 상임고문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이 밖에도 많은 정치인들이 사단법인 등 각종 단체에서 활동하여 왔습니다.

 

그러나 이들 정치인들이 공직선거법 제255조 제1항 제13·89조 제1항 본문에 정한 유사기관 설치 금지 위반으로 인한 부정선거운동죄, 공직선거법 제254조 제2항에 정한 사전선거운동죄 및 정치자금법 제45조 제1항 본문에 정한 정치자금부정수수죄로 기소된 적이 없습니다. 이 사건은 정치인의 통상적인 사단법인 활동을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이라고 하여 기소한 보기 드문 사건입니다.

 

본 변호인은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상고이유서에서 주장하는 여러 쟁점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세워주실 것을 간곡히 앙청 드리는 바입니다.

 

2014년 대법원 전체 사건 37,652건 중 전원합의사건은 14건에 불과합니다. 2012년에는 28건이었으나 최근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현역 대전광역시장의 당선무효 여부가 걸려 있는 중요 사건입니다. 그 법적 쟁점도 다양합니다.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어 있고 사회적 영향력 및 파급력이 큰 사건이기도 하고, 향후 유사한 사건에서 대법원이 통일된 법령해석의 가이드라인을 설정해주어야 할 사건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민의 권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에 대해 시대정신에 맞는 새로운 법리를 선언함으로써 국민생활의 규범적 방향을 미래지향적으로 설정해주고 나아가 경제주체들에게 예측가능한 정치·경제 활동의 가이드라인을 분명하게 해주는 것이야말로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해야 할 역할의 본령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사건의 사회적 비중과 중요성 및 선례적 가치를 감안하시어 사건을 조기에 전원합의체에 회부하여 주시기를 앙망합니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16-08-27

조회수2,062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선거법] 기부행위제한위반죄의 '재산상 이익'

‘재산상 이익’과 ‘이익’의 구별   공직선거법 제112조 제1항 소정의 ‘재산상 이익’이란 같은 조항에 규정된 금전·물품에 준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욕망이나 수요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이익 중에서 사회일반의 상식과 관행 및 당사자 사이의 관계 등에 비추어 볼 때 사회적 의례의 범위를 넘어 사람의 재산적인 욕망이나 수요를 충족시키는 유형적 이익, 즉 기부행위 ..

Date 2016.07.20  by 황정근

[선거법] 권선택대전시장 선거법 사건 상고이유서(서론부분)

상고이유 개진에 앞서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정치인의 통상적인 사단법인 설립 및 그 활동이 공직선거법상 유사기관 설치 금지 위반으로 인한 부정선거운동죄 내지 사전선거운동죄로, 그 사단법인의 회비 수령이 정치자금법상 정치자금부정수수죄로 평가되어서는 안 됩니다.   공직선거법 제58조 제1항은 선거운동을 공직선거에서 당선되거나 되게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Date 2016.08.27  by 황정근

[선거법] '선거운동'의 개념에 대한 새 대법원판결

대법원 2016. 8. 26. 선고 2015도11812 전원합의체판결[대전광역시장 등에 대한 공직선거법위반 등 사건]◇1. ‘선거운동’의 의미, 2. 이 사건 포럼의 설립 및 그 활동이 유사기관설치 내지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선거운동의 자유와 공정 및 기회균등을 꾀하고, 정치인의 통상적인 정치활동을 보장할 필요성, 죄형법정주의 원칙에서 파생되는 형벌법..

Date 2016.08.27  by 황정근

선거구 공백 때의 기부행위 문제, 비상상고로 조기 해결해야

선거구 공백 때의 기부행위 문제, 비상상고로 조기 해결해야  지난 4·13 국회의원 총선 후 선거범죄에 대한 기소와 재판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일선 법원에서는 선거구 공백기였던 지난 1월 1일부터 3월 2일까지 사이에 일어난 기부행위와 관련하여 기부행위제한위반죄의 성부(成否)에 대해 법리적인 다툼이 벌어지고 있다. 이 쟁점에 대해 하급심 판결도 재판부마다 유·..

Date 2016.08.31  by 황정근

[선거법] 허위사실공표죄애서 허위사실

Date 2016.11.09  by 황정근

선거구 공백기 기부행위, 항소심 첫 무죄 - 대구고법 판결

대구고등법원 2016. 12. 1. 선고 2016노483 판결(강승수 구미시의원 사건) 구 공직선거법상 기부행위제한 규정의 문언과 그 취지, 형벌법규의 해석원칙 등을 종합하여 알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사정들에 비추어 볼 때, 구 공직선거법 제112조 제1항에서 규정하는 ‘당해 선거구’는 구 공직선거법 제25조 제2항 별표 1 국회의원지역선거구구역표에 규정된 기존의 선거구를 의미한다고..

Date 2016.12.02  by 황정근

[선거법 판례해설] 금품 제공 ‘지시’ 죄에서 지시란 상하관계나 지휘감독관계를 전제로 ..

대법원 2017. 3. 22. 선고 2016도16314 판결   - 공공단체 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 제58조 제4호 소정의 금품 제공 ‘지시’ 죄에서 지시란 상하관계나 지휘감독관계를 전제로 하는지 여부(소극)   1. 판시사항   공공단체 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이하 “위탁선거법”) 제58조는 선거운동을 목적으로 선거인(선거인명부를 작성하기 전에는 그 선거인명부에 오를 자격이 ..

Date 2017.03.27  by 관리자

공직선거법 제256조 제3호 제1호 (아)목, 제90조 제1항 제호 위반죄

대법원 2018. 2. 28. 선고 2017도13103 판결[공직선거법위반]〈1인 시위와 선거법위반사건〉[공2018상,661]【판시사항】[1] 공직선거법 제90조를 위반하여 선전물을 게시한 행위 등을 한 사람을 처벌하는 공직선거법 제256조 제3항 제1호에서 ‘선거운동과 관련하여’의 의미 / 공직선거법 제256조 제3항 제1호에서 금지 대상이 되는 행위가 ‘선거운동’에 해당하여야 위 조..

Date 2018.05.22  by 황정근

금품 무상대여에서 추징액은 금융이익 상당액

대법원 2007. 3. 30. 선고 2006도7241 판결[공직선거법위반·정치자금법위반][공2007.5.1.(273),652]【판시사항】금품의 무상대여를 통하여 위법한 정치자금을 기부받은 경우 정치자금법 제45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필요적 몰수 또는 추징의 대상이 되는 재산상 이익의 의미(=금융이익 상당액) 【판결요지】정치자금법 제45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한 필요적 몰수 ..

Date 2018.05.22  by 황정근

{선거법 판례해설] 공직선거법상 ‘선거운동과 관련하여’의 의미

공직선거법상 ‘선거운동과 관련하여’의 의미대법원 2018. 2. 28. 선고 2017도13103 판결 -   변호사 황정근1.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2016. 2. 16. 12:00경 국회의사당 정문 앞에서 “이런 사람은 안 된다고 전해라”, “최경환 취업청탁 채용비리?”, “청년 구직자의 노력을 비웃는 채용비리 인사가 공천되어선 안 됩니다”라는 문구와 최경환 국회의원의 성명과 사진이 기재..

Date 2018.05.28  by 황정근